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철거된 기찻길 위, 새롭게 태어난 산책로 이야기

by 더오운 2025. 1. 21.

철도는 산업화의 상징이자 도심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일부 기찻길은 쓰임새를 잃고 방치되었죠.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철도를 재활용해 도시 재생의 상징으로 탈바꿈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경의선 숲길과 뉴욕의 하이라인 공원은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데 오늘은 '철거된 기찻길 위의 새로운 쉼터 경의선 숲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철거된 기찻길 위, 새롭게 태어난 산책로 이야기
철거된 기찻길 위, 새롭게 태어난 산책로 이야기

 

서울 경의선 숲길: 시민들의 새로운 쉼터

서울의 경의선 숲길은 과거 기차가 다니던 경의선 철도를 기반으로 조성된 도시 숲길입니다.

배경: 경의선은 서울을 지나 파주까지 연결되던 철도였으나 일부 구간이 비활성화되며 방치되었습니다. 2010년대 들어 철길을 철거하고 산책로와 공원을 조성하자는 계획이 시작되었습니다.
특징: 현재 경의선 숲길은 연트럴파크(연남동 구간)로 불리며, 산책로, 자전거길, 조경 공간이 어우러진 복합 공원입니다.
영향: 숲길 주변의 연남동, 홍대 인근 상권이 크게 발전했고,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뉴욕 하이라인 공원: 창의적 도시 재생의 아이콘

뉴욕의 하이라인 공원은 전 세계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모범 사례로 꼽힙니다.

배경: 1930년대 물류 운송을 위해 건설된 고가 철로가 1980년대 들어 사용이 중단되었습니다. 이후 이 철로는 녹슨 채 방치되었으나, 지역 예술가와 주민들의 노력으로 복원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특징: 하이라인 공원은 고가 철로를 기반으로 공원화하여 도심 위로 뻗은 독특한 산책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다양한 식물과 예술 작품이 배치되었고, 곳곳에 전망대를 만들어 도심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영향: 첼시 지역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도시 재생과 친환경 공원 조성의 성공 사례로 많은 도시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경의선 숲길과 하이라인의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항목 경의선 숲길  하이라인 공원
위치 서울, 대한민국  뉴욕, 미국
길이 약 6.3km 약 2.33km
조성 방식 지상 철도 기반  고가 철로 기반
주요 특징 자연 중심, 주민 친화적 공간 예술과 전망대가 어우러진 관광지
지역 변화  주변 상권과 주거 환경 발전 관광객 유입, 첼시 지역 활성화


이런 프로젝트가 주는 의미

철도는 단순히 물리적인 이동 수단을 넘어,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경의선 숲길과 하이라인 공원 같은 재활용 사례는 낡은 시설을 현대적이고 창의적으로 재탄생시킴으로써 환경, 문화,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환경적 가치: 녹지 공간 확대와 생태계 복원.
문화적 가치: 과거의 흔적을 보존하며 새롭게 활용.
경제적 가치: 주변 지역 상권 활성화와 관광객 유입.


앞으로의 가능성

사용되지 않는 철도는 전 세계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도시가 이와 같은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철도를 재활용해 시민들에게 새로운 공간을 선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당신이 사는 도시에도 이런 가능성을 가진 공간이 있나요? 있다면 그곳이 어떤 모습으로 변신할지 상상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입니다.